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1

6.트럼프 1조 달러 인프라 공약, 실제 실행됐을까? (트럼프 1기 경제 리뷰 시리즈 ⑥ · 최종편) 트럼프 1조 인프라, 무엇이 실행됐나?광대역과 중장비주, 연결고리는?트럼프 정책에서 배우는 투자 인사이트 # 트럼프 1조 달러 인프라 공약, 실제 실행됐을까?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당선 이후, 미국 인프라 현대화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하지만 1조 달러에 달하는 이 공약은 실제로 얼마나 실현되었을까요? ## 1. 공약 개요 - 총 투자 계획: 1~1.5조 달러 - 대상: 도로, 공항, 철도, 통신망, 전력망 ## 2. 실행 현황 의회의 승인을 받지 못하고, 예산 우선순위 변경 등의 이유로 대형 법안 통과는 무산됐습니다.   대신 다음과 같은 부분 실행이 있었습니다: - **DOT 예산**: 2017~2020년 연평균 약 700억 달러    .. 2025. 4. 11.
5.트럼프 1기 국방예산 분석: 우주군 창설과 방산주 수혜 종목 정리 (트럼프 1기 경제 리뷰 시리즈 ⑤)"우주군 창설과 방산주 투자 포인트"“국방예산 1조 6천억 달러!”“미국 방산 ETF, 지금 들어가도 될까?” 국방예산 증액 배경과 전략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7년 취임과 함께 국방 예산 증액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그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있었습니다.중국, 러시아의 군사력 증강 견제북핵 및 중동 이슈 대응미래형 전쟁 (우주·사이버) 대비📌 출처: https://www.cbo.gov/publication/56941연도국방예산 (억 달러)20176,06220186,68620196,86120207,13620217,040우주군 창설과 전략 변화2019년 12월, 트럼프 행정부는 공식적으로 U.S. Space Force를 창설하였습니다.이는 미국의 전략 전력 .. 2025. 4. 11.
4.트럼프 1기 에너지 독립과 셰일 혁명(미국은 어떻게 에너지 수출국이 되었는가?) (트럼프 1기 경제 리뷰 시리즈 ④) 미국의 에너지 독립, 트럼프는 무엇을 했나?셰일 혁명과 에너지 수출의 연결 고리트럼프 1기 경제 리뷰: 에너지편 완전 분석 1. 에너지 독립, 현실이 되다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부터 **“Energy Dominance”**를 기치로 석유·천연가스 생산 확대, 수출 촉진, 규제 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했습니다.그 결과, 2019년 미국은 70년 만에 에너지 순수출국으로 전환되었습니다.출처: https://www.eia.gov/todayinenergy/detail.php?id=423922. 셰일 혁명과 트럼프의 가속화 전략오바마 행정부 때부터 본격화된 셰일 혁명은,트럼프 정부 들어 제도적, 인프라적 후속 조치로 더욱 강화되었습니다.주요 정책연방 토지 및 해양 시추 허가 .. 2025. 4. 11.
3.트럼프 1기 미국 증시 흐름 총정리(S&P500과 나스닥은 왜 상승했는가?) (트럼프 1기 경제 리뷰 시리즈 ③)"트럼프 시대 미국 증시 총정리""S&P500·나스닥은 왜 올랐나?""감세·테크주 랠리의 진실"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취임과 동시에감세, 규제 완화, 제조업 부흥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해당 정책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해석되며미국 주식시장의 급등을 이끌었습니다.📈 주요 지수 성과S&P5002017년 1월 약 2,275 → 2021년 1월 약 3,700 (약 62% 상승)👉 S&P500 지수NASDAQ2017년 1월 약 5,500 → 2021년 1월 약 13,000 (약 136% 상승)👉 나스닥 지수※ 2020년 팬데믹 직후 일시 하락했지만, 역대급 유동성 공급과 테크기업 성장으로 빠르게 반등📌 상승 배경 3가지1. 감세 정책과 기업 실적 향상20.. 2025. 4. 11.
2. “트럼프 1기 관세 정책 총정리 – 제조업 귀환과 투자 전략 분석” 🇺🇸 트럼프 1기 무역전쟁 리뷰 관세 폭탄, 제조업 귀환? 투자자는 무엇을 얻었나?-->(트럼프 1기 경제 리뷰 시리즈 ②) “트럼프 관세 정책의 경제 효과 총정리” “공급망 재편, 제조업 귀환의 진실” “미중 무역전쟁, 투자자 시사점은?”1️⃣ 개요: 미중 무역전쟁의 시작 2018년 7월: $340억 규모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최종적으로 $3,700억+에 고율 관세 적용 목적: 무역 불균형 해소, 지재권 보호, 미국 제조업 회복 👉 출처: USTR 공식 웹사이트2️⃣ 공급망 구조의 변화 베트남, 인도, 멕시코가 새로운 생산기지로 급부상 👉 관련 기사 보기 (CNBC) 애플, HP, 델 등 글로벌 기업 생산기지 분산 👉 Nikkei Asi.. 2025. 4. 11.
1. “트럼프 1기 경제정책 총정리 – 감세, 증시, 실업률, 투자 시사점까지” 🇺🇸 트럼프 1기 경제정책 총정리감세, 실업률, 증시 상승…과연 성공적이었나? --> (트럼프 1기 경제 리뷰 시리즈 ①)📌 트럼프 1기 경제정책 요약GDP · 실업률 · 증시 상승률 총정리트럼프 1기의 경제 성과는 과연 투자자에게 어떤 교훈을 남겼을까?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2017~2021)는 미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본 글에서는 GDP, 실업률, S&P500 지수 등을 통해 경제정책의 실제 효과를 분석합니다.📌 미국 GDP 성장률 (연간 기준)2017년: 2.4%2018년: 2.9% → 감세 정책의 본격 효과2019년: 2.3%2020년: -3.4% → 코로나 팬데믹의 충격성장률은 2018년 정점을 찍고 이후 완만히 하락, 팬데믹으로 급락했습니다.📌 실업률 변화 (월별 기준)20.. 2025.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