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기 경제 리뷰 시리즈 ⑤)
"우주군 창설과 방산주 투자 포인트"
“국방예산 1조 6천억 달러!”
“미국 방산 ETF, 지금 들어가도 될까?”
국방예산 증액 배경과 전략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7년 취임과 함께 국방 예산 증액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그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있었습니다.
- 중국, 러시아의 군사력 증강 견제
- 북핵 및 중동 이슈 대응
- 미래형 전쟁 (우주·사이버) 대비
📌 출처: https://www.cbo.gov/publication/56941
연도국방예산 (억 달러)
2017 | 6,062 |
2018 | 6,686 |
2019 | 6,861 |
2020 | 7,136 |
2021 | 7,040 |
우주군 창설과 전략 변화
2019년 12월, 트럼프 행정부는 공식적으로 U.S. Space Force를 창설하였습니다.
이는 미국의 전략 전력 구조가 지상 중심 → 우주·사이버 중심으로 이동했음을 상징합니다.
방산 산업의 수혜 종목
대표 기업별 주가 및 특징
- Lockheed Martin (LMT)
https://finance.yahoo.com/quote/LMT
→ 전투기·미사일 등 주력. 트럼프 1기 동안 주가 35% 상승 - Northrop Grumman (NOC)
https://finance.yahoo.com/quote/NOC
→ 우주 관련 수주 다수. 스텔스 폭격기 공급 - Raytheon Technologies (RTX)
https://finance.yahoo.com/quote/RTX
→ 방공 시스템, 정밀 유도 무기 중심
방산 ETF: ITA
- iShares U.S. Aerospace & Defense ETF (ITA)
https://www.ishares.com/us/products/239726/ishares-us-aerospace-defense-etf
→ 방산주에 분산 투자 가능. 다만 미국 정치 리스크, 예산변동성 고려 필요
요약 및 투자 시사점
트럼프 국방 정책은 향후 미국의 지속적인 첨단 전력 강화 흐름과 연결됩니다.
특히 2025년 대선 이후 정책 지속 여부에 따라 관련 ETF, 우주·사이버·AI 무기 관련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사이트(경제·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미국 CPI 분석] 물가는 잡혔는데 증시는 왜 폭락했을까? 장기 금리·중국 리스크가 열쇠다 (0) | 2025.04.11 |
---|---|
6.트럼프 1조 달러 인프라 공약, 실제 실행됐을까? (2) | 2025.04.11 |
4.트럼프 1기 에너지 독립과 셰일 혁명(미국은 어떻게 에너지 수출국이 되었는가?) (0) | 2025.04.11 |
3.트럼프 1기 미국 증시 흐름 총정리(S&P500과 나스닥은 왜 상승했는가?) (3) | 2025.04.11 |
2. “트럼프 1기 관세 정책 총정리 – 제조업 귀환과 투자 전략 분석” (0) | 2025.04.11 |